시사 어휘 오늘 한 단어
보장 vs 보존, 의미의 무게가 다르다
뉴스에서 헷갈리는 표현
‘권리를 보장한다’, ‘문화를 보존한다’
두 표현 모두 일상과 시사 기사에서 자주 접하게 된다.
하지만 무심코 비슷하게 쓰기엔 두 단어 사이에는 뉘앙스와 역할의 차이가 크다.
보장: 반드시 책임지고 지켜준다
‘보장하다’는 어떤 권리나 조건이 반드시 실현될 수 있도록 책임지고 약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권리, 안전, 자유, 생계처럼 사람이 누려야 할 조건이나 환경과 함께 쓰인다.
예문
헌법은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한다.
정부는 노인의 기초생활을 보장할 방안을 검토 중이다.
‘확실하게 책임지고 지켜주겠다’는 강한 약속의 의미가 담겨 있다.
보존: 원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한다
‘보존하다’는 시간이 지나도 변형되지 않도록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며 지키는 것을 뜻한다.
대개는 문화재, 유산, 전통, 생태, 자료 등 시간이 흐르면 변형되기 쉬운 대상을 보호하는 데 쓰인다.
예문
이 지역은 전통 가옥이 잘 보존되어 있다.
고문서를 디지털로 보존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무언가를 변화시키지 않고 유지하려는 태도가 핵심이다.
쉽게 구분하는 팁
보장은 권리나 조건을 책임지고 지키는 것
보존은 형태나 본질을 변하지 않게 유지하는 것
따라서
사람의 권리, 생계, 안전 → 보장
유산, 생태, 기록, 전통 → 보존
이렇게 상황에 따라 구분해 쓰면 어색함 없이 자연스러운 문장이 된다.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사 어휘 오늘 한 단어 근거 vs 배경, 설명의 중심이 다르다 (0) | 2025.05.06 |
---|---|
시사 어휘 오늘 한 단어강화 vs 확대, 다 같은 ‘늘림’이 아니다 (2) | 2025.05.06 |
시사 어휘 오늘 한 단어 보완 vs 보전, 이 둘은 어떻게 다를까? (0) | 2025.05.06 |
헷갈리는 표현뿐만 아니라 vs 뿐 아니라 (0) | 2025.05.05 |
헷갈리는 표현 안된다 vs 안 된다 vs 않다 (1) |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