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어휘 오늘 한 단어
강화 vs 확대, 다 같은 ‘늘림’이 아니다
자주 보이는 뉴스 표현
‘규제를 강화한다’,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
비슷하게 들리지만, 두 단어는 무엇을, 어떻게 바꾸는지에 따라 명확히 구분된다.
언뜻 보면 ‘무언가를 늘린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늘리는 대상과 방향이 다르다.
강화: 기준이나 수준을 높인다
‘강화하다’는 어떤 규정이나 태도를 더 강하게 만든다는 뜻이다.
기존보다 더 엄격하고 단단하게 조치하거나 통제하는 상황에서 주로 쓰인다.
예문
정부는 부동산 투기 단속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기업의 내부 보안 절차를 강화해야 한다.
즉, 어떤 기준이나 통제를 더 엄격하게 조이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제한, 규제, 통제, 경계, 경고 같은 말과 함께 쓰인다.
확대: 범위나 규모를 넓힌다
‘확대하다’는 범위, 수, 크기, 적용 대상 등을 넓히는 것을 말한다.
기존보다 더 많은 대상이나 넓은 공간, 큰 개념으로 포괄하는 쪽으로 확장된다.
예문
청년 지원금 신청 대상을 확대한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범위를 전 연령대로 확대했다.
즉, 뭔가를 더 많은 사람, 더 넓은 영역에 퍼지게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지원, 혜택, 적용, 기회 등과 함께 쓰인다.
이렇게 구분하면 헷갈리지 않는다
강화는 단단하게 만든다 → 통제, 제한, 기준
확대는 넓게 만든다 → 범위, 대상, 규모
뉴스 기사에서
‘규제 강화’는 엄격해지는 것이고
‘지원 확대’는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받는다는 말이다.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슷한 듯 다르게 쓰이는 단어 정책 발표, 사과문, 행정 문서에서 자주 보이는 두 표현 (1) | 2025.05.06 |
---|---|
시사 어휘 오늘 한 단어 근거 vs 배경, 설명의 중심이 다르다 (0) | 2025.05.06 |
시사 어휘 오늘 한 단어 보장 vs 보존, 의미의 무게가 다르다 (0) | 2025.05.06 |
시사 어휘 오늘 한 단어 보완 vs 보전, 이 둘은 어떻게 다를까? (0) | 2025.05.06 |
헷갈리는 표현뿐만 아니라 vs 뿐 아니라 (0) |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