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어휘 오늘 한 단어
공표 vs 발표, 드러낸다는 점은 같지만 무게가 다르다
뉴스에서 흔히 헷갈리는 표현
‘정부는 새로운 방침을 공표했다’
‘연구 결과가 오늘 발표되었다’
둘 다 ‘무언가를 공개적으로 알린다’는 의미지만,
대상의 성격과 공식성의 정도에 따라 구별해야 하는 단어다.
공표: 법적 효력이 수반된 공식 선언
‘공표하다’는 법률, 방침, 정책, 제도 등 중요한 내용을 공식적으로 널리 알리는 것이다.
대개는 행정기관이나 공공 주체가 공식 절차에 따라 내리는 알림이다.
예문
헌법재판소는 위헌 결정을 공표했다.
정부는 고시 개정안을 공표했다.
공표는 단순한 전달이 아니라,
효력이 발생하거나 준수가 요구되는 중요한 내용을 뜻하며,
법적·제도적 무게감이 강조된다.
발표: 일반적인 내용 전달이나 공개
‘발표하다’는 새로운 정보, 성과, 일정 등을 공개적으로 알리는 것이다.
공표보다 더 넓고 일반적인 의미로,
학계, 언론, 기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된다.
예문
새로운 백신 개발 성과가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입시 일정이 곧 발표될 예정이다.
발표는 결과나 내용을 널리 알리는 것에 초점을 두며,
법적 강제력은 없고, 정보 제공 성격이 강하다.
이렇게 구분하면 헷갈리지 않는다
공표는 제도나 방침을 공식적으로 선언 → 법적 효력
발표는 연구나 계획을 공공에게 알림 → 정보 전달
따라서
법령, 정책, 고시, 판결 → 공표
결과, 일정, 연구, 회의 내용 → 발표
두 단어 모두 ‘공개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공표는 효력 있는 선언,
발표는 전달되는 정보라는 점에서 구분된다.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청 vs 요구, 말은 비슷해도 온도가 다르다 (0) | 2025.05.07 |
---|---|
시사 어휘 오늘 한 단어 검토 vs 심사, 보는 깊이와 목적이 다르다 (0) | 2025.05.07 |
시사 어휘 오늘 한 단어 회수 vs 철회, 거둬들이는 방식이 다르다 (0) | 2025.05.07 |
시사 어휘 오늘 한 단어 회수 vs 철회, 거둬들이는 방식이 다르다 (0) | 2025.05.07 |
시사 어휘 오늘 한 단어 방안 vs 방법, ‘어떻게’의 스케일이 다르다 (0)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