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글쓰기를 하다 보면 맞춤법이나 띄어쓰기에 대해 확신이 서지 않을 때가 많다. 이럴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도구가 맞춤법 검사기다. 하지만 검사기의 종류가 여러 가지이다 보니 어떤 걸 써야 할지 고민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현재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맞춤법 검사기 다섯 가지를 비교하고, 각각의 특징과 추천 용도를 정리했다.
1.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접근: 네이버 검색창에 '맞춤법 검사기' 입력 후 바로 사용 가능
장점: 사용법이 직관적이며, 글자 수 제한이 없고 속도도 빠름
단점: 오류 문장에 대한 설명이 간단해서, 학습 효과는 다소 떨어짐
추천 용도: 블로그 글, 간단한 글쓰기 초안 확인용
2. 다음(카카오) 맞춤법 검사기
접근: 다음 맞춤법 검색 or 다음카카오 맞춤법 검사기 페이지에서 사용
장점: 띄어쓰기 오류를 비교적 잘 잡아냄
단점: 검사 결과가 네이버보다 간단하고 수정 제안이 적음
추천 용도: 초중학생 글쓰기, 간단한 이메일 등
3. 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 (온라인가나다)
접근: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 온라인가나다 활용
장점: 표준국어대사전 기반이라 신뢰도 높음
단점: 검사기라기보다 문의형 시스템(즉시 검사 불가능)
추천 용도: 복잡한 문장이나 맞춤법 논란 있는 표현 확인 시
4. 서울대 인공지능 맞춤법 검사기 (PnuSpell)
접근: https://speller.cs.pusan.ac.kr
장점: 오탈자·문법·띄어쓰기 등 복합 오류 탐지, AI 기반 분석
단점: 속도가 다소 느릴 수 있으며 긴 글은 나누어야 함
추천 용도: 논문, 리포트, 블로그 글 최종 교정용
5. 맞춤법 검사기 플러그인(브라우저 확장)
접근: Chrome 확장 프로그램 또는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등
장점: 글 작성 중 자동 실시간 검사, 반복 작업에 유리
단점: 정확도는 다소 떨어지거나 과잉 교정 발생 가능
추천 용도: 실시간 타이핑 교정, 웹에 글 자주 쓰는 사용자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문학 독해, 비교 대조형 구조는 이렇게 읽는다 (0) | 2025.05.04 |
---|---|
비문학 독해의 핵심, 서론 본론 결론 구조를 어떻게 공부할까 (0) | 2025.05.04 |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 보네다 vs 보내다 (1) | 2025.05.04 |
비문학 독해에 효과적인 문단 구조 분석법 (0) | 2025.05.04 |
비문학 독해가 어려운 이유와 해결 방법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