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 16

헷갈리는 순우리말 표현 6가지

일상에서 자주 쓰는 우리말 중에도의외로 정확한 뜻을 잘 모르는 말이 많습니다무심코 써왔지만 실제 의미가 다르거나비슷한 표현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번 글에서는 그런 순우리말 표현들을정확한 뜻과 함께 예시를 들어 정리해 봅니다가늠과 가름비슷해 보이지만 뜻은 완전히 다릅니다'가늠'은 기준을 잡거나 추측하는 것을 말합니다예를 들어 무게를 가늠하다, 상황을 가늠하다 등입니다반면 '가름'은 둘로 나누거나 분리하는 것을 뜻합니다승부를 가름하다, 줄을 가름하다처럼 씁니다가늠은 '예상과 판단', 가름은 '나눔과 구별'로 기억하면 좋습니다걸맞다와 알맞다둘 다 '잘 어울리는' 의미로 쓰이지만사용되는 문장 구조가 다릅니다'걸맞다'는 서술어로 사용될 때 조사가 필요 없습니다예를 들어 '그 옷이 잘 걸맞다'라고 하지 않고'..

국어 2025.06.06

띄어쓰기 헷갈리는 표현 7가지 제대로 구분하기

국어에서 가장 자주 틀리는 건 단연 띄어쓰기입니다모든 말을 띄면 어색하고 다 붙이면 틀립니다특히 자주 쓰는 표현일수록 애매하게 느껴집니다이 글에서는 헷갈리는 표현 7가지를실제 예시와 함께 정확히 정리합니다안 되다를 붙일까 띄울까가장 많이 틀리는 표현이 안 되다입니다'되다'와 '않다'가 같이 쓰일 때는보조 용언이므로 항상 띄어 써야 합니다예를 들어 '일이 안되다'는 틀린 표현이고'일이 안 되다'가 맞는 표현입니다'하다', '되다', '않다'는 보조 용언일 때항상 앞말과 띄어 써야 합니다다만 단어 하나로 굳어진 경우는'해보다'처럼 붙여 쓰기도 합니다해보다와 해 보았다 중 맞는 표현은해보다, 해봤다, 해보자처럼 붙여 쓰는 경우가 많지만정확한 문법상 이 표현들은 모두 띄어 써야 맞습니다'해 보았다', '해 보자..

국어 2025.06.06

고유어와 한자어 뜻 차이, 헷갈리는 표현 5가지

비슷하게 들리지만 실제 의미는 다른 말들이 있습니다특히 고유어와 한자어가 같은 상황에 쓰이면서혼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이 글에서는 자주 혼동되는고유어와 한자어의 의미 차이를 정리해 봅니다정확한 뉘앙스를 구분할 수 있으면글의 표현력도 훨씬 깊어집니다생각과 사고'생각'은 고유어이고 '사고'는 한자어입니다'생각'은 감정이 섞인 개인적 인식입니다'그 생각만 하면 속이 답답해'처럼 쓰입니다반면 '사고'는 논리적이거나 철학적인 과정입니다'사고 능력을 키우자', '비판적 사고가 필요하다'처럼 사용됩니다생각은 느낌에 가깝고사고는 분석에 가깝습니다말과 언어'말'은 고유어이고 '언어'는 한자어입니다'말'은 입에서 나오는 구체적 표현입니다'그 사람 말투가 따뜻해'처럼 쓸 수 있습니다반면 '언어'는 체계적인 기호와 문법..

국어 2025.06.06

품사 따라 뜻이 달라지는 단어 5가지

하나의 단어라도 문장에서 어떤 품사로 쓰이느냐에 따라뜻이 전혀 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런 단어들은 특히 글쓰기나 말하기에서의미를 오해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품사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대표적인 단어 5가지를 예문과 함께 소개합니다말'말'은 명사일 때와 동사 어간일 때 뜻이 다릅니다명사로 쓰일 때는'사람의 언어 표현'을 의미합니다예: 그 사람의 말이 인상 깊었다하지만 '말하다'의 어간으로 쓰일 때는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예: 지금 말하지 마, 조용히 해같은 단어라도 명사냐 동사 어간이냐에 따라문장 구조와 의미가 크게 달라집니다보다'보다'도 품사에 따라 여러 뜻이 나뉩니다본용언으로 쓰이면 '눈으로 인식하다'의 뜻입니다예: 하늘을 보다, 영화를 보다하지만 보조 용언일 때는‘시험 ..

국어 2025.06.06

자주 헷갈리는 국어 맞춤법 6가지

글을 쓸 때 가장 많은 고민은 맞춤법입니다잘 쓴 글도 맞춤법이 틀리면 신뢰도가 떨어집니다특히 자주 쓰는 표현일수록 더 쉽게 헷갈립니다이 글에서는 일상에서 자주 틀리는 맞춤법을예시와 함께 정확히 정리해보겠습니다낫다와 낳다의 차이이 두 단어는 뜻이 완전히 다릅니다하지만 발음이 비슷해 자주 혼동됩니다'낫다'는 병이나 상태가 회복될 때 사용합니다예를 들어 감기가 낫다, 상처가 낫다 등입니다반면 '낳다'는 아이를 출산하거나 결과를 만들 때 씁니다예를 들어 아이를 낳다, 문제를 낳다와 같이 쓰입니다비슷한 예로 '나았다'는 '낫다'의 과거형이고'낳았다'는 '낳다'의 과거형입니다맞히다와 맞추다의 차이'맞히다'는 정답을 고르거나 맞게 대답할 때 사용합니다예를 들어 퀴즈를 맞히다, 문제를 맞히다처럼 쓰입니다반면 '맞추다'..

국어 2025.06.06

자주 틀리는 맞춤법 이제는 제대로 구분하자

우리는 매일 메시지를 주고받고 글을 씁니다 하지만 맞춤법 오류는 예상보다 자주 일어납니다 특히 자주 틀리는 표현은 익숙하지만 정확히는 모르기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상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을 기준으로 대표적인 맞춤법 오류들을 이해 중심으로 정리해봅니다 되와 돼는 바꿔서 말이 되는지 확인하자 되는 동사 되다의 원형이고 돼는 되어의 줄임말입니다 예를 들어 이건 안돼는 이건 되어로 바꿔도 자연스럽습니다 하지만 일이 안되니까는 일이 되어니까가 되므로 이상합니다 돼는 대부분 되어로 바꿔 말이 되면 맞습니다 소리만 듣지 말고 형태로 판단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왠지와 웬은 의미가 다르다 왠지는 어떤 느낌이나 추측을 표현할 때 쓰고 웬은 무슨이나 어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왠지 오늘은 기분이 좋아 웬 연락이 ..

국어 2025.06.06